Gazuaa~! (공사중)

한국 증권시장 EDA

프로젝트 소개

Problem

저는 모든 컴퓨터OS를 MAC으로 사용하고있습니다.
많은 증권사들이 HTS 운영체제로 MAC을 지원하고있지 않기 때문에, 간단히 주가 정보를 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였습니다.

Thinking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있는 모든 종목의 차트 구현 & 각종 금융지표와 더불어, 미니 HTS 제작

- MAC OS의 HTS 부재

Solution

Yahoo Finanace, 한국은행 API를 활용한 미니 주가정보 시스템 구축 & 증권시장 소음 분석

<서비스 데이터>
- KOSPI & KOSDAQ 2,600 + 종목
- 10년 주가정보
- 기준 금리 및 시장금리
- 주요 통화국 환율

<주요기능>
- 종목번호를 통한 주가 & 차트 조회
- MACD, 이평선등 간단한 주가 지표
- 기축통화 환율에 따른, 주가이동추이

기술 스택



개발 과정

GitHUB : 바로가기👀

도전과제

  • 제한 시간내에 벌크 데이터 처리
  • 고정 IP가 할당하지 못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
  • AWS Redshift 사용 불가에 따른 무료 DW 구축


  • 해결방안



    결과물



    인사이트

    배운점

    -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효과적 장치 도입(칸반, Git)
    - 제한된 리소스 내에 요구사항 수립 및 시행

    코드를 작성하여,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것 뿐만 아니라, 해당 데이터의 성격 & 처리방식에 따라, 파이프라인 아키텍쳐를 고민해야한다는 점을 알게되었습니다. 6명의 팀원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위해, 칸반을 도입하여, 매일 칸반미팅을 진행하였으며, 오픈소스(Airflow Git)을 참고하여, 코드리뷰, 스테이징, 문서, 이슈, 프로젝트 등 프로젝트의 모든 부분을 Git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습니다.

    아쉬운점

    - 처리된 데이터 DW redshift 사용불가
    기존에 DW로 사용하기로 하였던, AWS Redshift를 비용제한상 사용하지 못하였습니다. 따라서, 처리된 데이터를 OLTP 형태로 적재하였으나, 추후, OLAP 구조 또한 사용해보고싶습니다.

    - 컨텐츠 제작자 전용 BI 구축
    SMS 프로젝트에 구축된 BI는 문화생활을 소비하는자에 국한된 BI 입니다.컨텐츠 배급사, 제작사에게 월별, 시즌별 경쟁영화 없이 해당 컨텐츠의 수익 극대화, 세부 장르 군집화를 통한 새로운 트렌드 장르(예시 : 90년대 한국나들이)를 제공하고싶습니다.

    - 데이터매시 구축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슬기로운 문화생활 프로젝트 데이터는 중앙 집권식 처리 방식을 고수하고있습니다. 따라서, 공연, 영화와 같은 카테고리가 다른 데이터들을 분산 운영 처리 할 수 있는 데이터 매시 방식을 채택하여, 데이터 품질 관리개선을 하고 싶으며, 나아가, 문화생활 장소 GPS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문화 나들이 코스 제안과 같은 통합 서비스를 구현해보고싶습니다.